2023 년 FOMC Meetings
금리 동결이 의미 하는 바는 무엇인가?
6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한 것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 한다고 생각합니다. 연준은 올해 5번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지만, 6월 FOMC에서는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이러한 동결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해도 효과가 없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왜 인플레이션을 잡기가 힘들까요?
-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단순하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공급망 혼란 등 다양합니다.
- 연준이 금리를 인상해도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기업의 수익을 감소시키고, 이는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주식 시장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경제 성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 주식 시장은 하락할 것입니다.
2023년 6월 CPI는 예상보다 낮게 나왔지만, 연준은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경기 침체를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 됩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되돌아올 때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입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있습니다. 연준은 경기 침체를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열어 두어야 할 것 입니다.
미국의 금리 상단
점도표를 통해 올해 최종금리 전망치를 5.6%로 제시했는데, 5.6%라는 건 기준금리를 5.5%-5.75% 구간까지 올리겠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파월형님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서 말을 거침없이 하고 있습니다. 아마 7월 CPI를 확인해야 하겠지만 2%까지 떨어지지 않는다면, 7월에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현재 한국은 3.5%로 미국 5.25%와 1.75% 가 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달러도 안정화 되고 있는 느낌이고, 뉴스에서는 연일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현재 15개월 연속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이시점에서,,,, 우리는 뉴스에 흔들리지 말고 스스로 잘 판단해야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Ba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슨 홀 미팅 및 국내 영향 (0) | 2023.09.03 |
---|---|
TLT ETF & 관련 장/단기 금리차 상관관계 (0) | 2023.07.01 |
FOMC 23.05월 발표 관련... (0)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