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 ETF

한국 VS 중국 or 미국 or 인도 주식 시장 추천...

푸린남편 2023. 6. 11. 16:25
728x90

출처 : https://finviz.com/map.ashx

저의 경우에는 미국 시장과 한국 시장에만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현명한 투자를 통해, 경제적 졸업을 할 수 있기를 응원 합니다.

 

미국
  • 미국 주식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35조 달러로, 세계 전체 주식 시장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이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면 전 세계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미국 기업은 한국 기업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고 수익성이 높습니다. 미국 기업의 평균 시가총액은 한국 기업의 약 10배입니다. 또한 미국 기업은 한국 기업보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합니다.
  • 미국 주식 시장은 규제가 더 잘되어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한국 주식 시장보다 규제가 더 잘되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 미국 주식 시장은 유동성이 더 높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한국 주식 시장보다 유동성이 더 높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주식을 사고 팔기가 더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일반적으로, 위험을 회피하는 투자자라면 한국 주식이 더 좋은 투자처일 수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에 비해 정치, 경제, 사회가 안정적이며, 기업의 규제도 적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은 미국 기업에 비해 기술력이 높고, 글로벌 경쟁력이 있습니다.
  • 성장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미국 주식이 더 좋은 투자처일 수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GDP 성장률은 2022년 5.7%에 달했습니다. 미국 경제의 성장은 소비, 투자, 수출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에 비해 자본력이 높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국 주식 말고 미국 주식을 사면 더 큰 시장, 더 큰 기업, 더 나은 규제, 더 높은 유동성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주식에 투자하기 전에, 국가의 경제, 정치, 기업 환경 등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분산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산 가능 인구 기준으로 보면, 2023년 기준 미국의 생산 가능 인구는 약 1억 6천 9백만 명입니다. 이는 2022년 대비 약 0.5% 감소한 수치입니다.

 

Summary (한국 주식 기준)

장점 - 경제 규모가 작아 정치, 경제, 사회가 안정적이다. - 기업의 규제가 적다. - 한국 기업은 기술력이 높고,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
단점 - 성장 잠재력이 미국 주식에 비해 낮다. - 미국 기업에 비해 시장이 포화되어 있다.


출처 : google

 

중국
  • 중국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GDP 성장률은 2022년 8.1%에 달했습니다. 중국 경제의 성장은 소비, 투자, 수출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 중국 기업들은 경쟁력이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저렴한 노동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특히 전자, 통신, 자동차, 조선 등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국 주식은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중국 주식은 미국 주식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이는 중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중국 기업의 경쟁력에 비해 중국 주식의 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국 주식 투자에는 위험도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 환율 변동, 지정학적 불안정 등은 중국 주식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중국 기업의 경쟁력을 감안할 때, 중국 주식은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경제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구가 많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 환경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주식은 한국 주식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됩니다.

 

다만 걱정되는 점은..

2011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0년에는 8억 9,000만 명으로 감소했습니다. 2023년에는 8억 8,0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0년 9억 9,000만이랑 비교하면 거의 13년 사이에 1억명이 감소했습니다.

중국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고령화와 출생률 감소로 인한 것입니다. 중국의 고령화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2020년에는 전체 인구의 14.2%가 65세 이상이었습니다. 출생률 감소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2020년에는 전체 출생률이 1.3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전 한국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생각 됩니다.

저는 중국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러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경제성장을 둔화시키고, 고용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도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인도의 생산가능인구는 약 9억 1,800만 명입니다. 이는 인구의 약 62%에 해당합니다. 생산가능인구는 15세에서 64세 사이의 인구를 말합니다. 이들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인구로, 경제성장의 핵심입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 됩니다.

 

  • 인도 경제는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도의 GDP는 2022년 8.7% 성장했으며, 2023년에도 7.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성장률 중 하나입니다.
  • 인도는 인구가 많고 젊습니다. 인도의 인구는 14억 명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습니다. 인구의 절반 이상이 35세 미만입니다. 이처럼 인구가 많고 젊다는 것은 인도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도의 기업들은 경쟁력이 있습니다. 인도의 기업들은 저렴한 노동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인도의 기업들은 IT, 자동차,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인도의 주식 시장은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인도의 주식 시장은 미국, 중국 등 다른 선진국 주식 시장보다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이는 인도의 경제 성장 잠재력과 기업의 경쟁력에 비해 주식 시장의 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 주식은 인도 주식에 비해 시장이 더 포화되어 있고, 규제가 더 많습니다. 인도 주식은 한국 주식에 비해 경제 규모가 작고, 기업의 경쟁력이 낮습니다. 그러나 인도 주식은 한국 주식에 비해 성장 잠재력이 높고, 규제가 적습니다. 

 

저는 출산율이 언젠가 큰 영향을 줄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맨 밑이 한국, 민위가 이스라엘 입니다. 미국과 중국.. 둘다 감소 추세이긴 하지만 한국을 이길 수 없습니다. 걱정이 됩니다...........

 

이상입니다. 다들 현명한 투자를 응원하겠습니다.

728x90